본문 바로가기
보고

[왓챠/반도] 좀비가 보고 싶어 지는 좀비 영화

by 문학도 2020. 11. 8.

 

[왓챠/반도] 좀비가 보고 싶어 지는 좀비 영화

 

왓챠 <반도>를 보고

 

 

 

반도는 왓챠와 넷플릭스, 두 플랫폼에서 모두 만나볼 수 있으나 익숙해진 왓챠에서 감상하게 됐다.

(넷플릭스만을 구독하다가 왓챠까지 폭을 넓혀 처음 왓챠를 시청하게 됐을 땐 정말 불편한 것 같았는데

왓챠가 시청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서인지 이제는 왓챠가 나에겐 좀 더 익숙해지게 되었다.)

앞서 남긴 <#살아있다> 감상문을 보면 알겠지만 나는 '좀비' 소재를 정말 좋아한다.

그렇기에 이번 <반도>또한 공개되기를 손꼽아 기다렸는데 기대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꽤나 재미있게 보았던 <부산행>의 후속편이라는 사실에 너무 기대를 크게 한 탓일지도.

좀비 영화인데 좀비보다 강동원의 매드 무비 한 편을 본 것 같았다.*

 

 

 

 

 

 

이런 아쉬움은 왓챠의 평점으로도 어느 정도 드러나 있었다. 2.7.

개인적으로 한국판 매드맥스라 불릴 정도로 좀비보다는 액션에 치중한 것도 아쉬웠지만

(현란한 운전 솜씨를 보여준 이레와 그녀의 동생, 이예원이 귀여운 건 사실이었으나 오글거리는 것도 사실이었다.)

너무 드러나는 복선 때문에 '이러려고 굳이'라는 생각을 연달아 들게 하면서 긴장감 또한 줄어들었다.

자고로 복선이란 드러났을 때 소름이 끼치면서 전율을 느껴야만 효과가 있는 것인데 말이다.

끝으로 한 마디로 억지 감동, '여기가 감동포인트야'싶은 장면들을 끼워 넣어 오히려 거부감이 들게 했다.

 

좀비 영화라고 하면 언제 어디서 등장할지 모르는 좀비들로부터 느끼는 공포감과 긴장감이 끊어지지 않으며

좀비가 나타나면서부터 이성을 잃어 좀비와 다를 바 없는 인간들의 바닥, 그 속에서도 이성을 잃지 않고

인간답게 살아가고자 노력하는 인간들(보통 이 인간들의 무리가 '주연'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 속에서 피어나는 인간애를 통한 감동이 포인트라고 생각하는데(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지만)

글쎄, <반도>에서는 완전하게 이러한 포인트들이 드러나는 부분이 있었는지 나는 잘 모르겠다.

그나마 드러났다고 한다면 631부대를 통해 상실된 인간성을 엿볼 수 있었던 정도.

 

 

 

 

 

 

한 가지 <반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라면 교훈이 있긴 하다.

나라를 잃은 난민이 된다면 어떠한 처지가 될지, 강동원과 김도윤의 홍콩에서의 모습을 보고 짐작할 수 있는데

그러니 '헬조선', '헬한민국'이라며 살기 힘든 우리나라라 욕하기만 하지 말고 때로는 '우리'나라가 있음에 감사하자.

 

 

 

*특히 강동원의 매형으로 등장하는 김도윤이 죽고 나서 '각성'한 강동원의 모습은 웃음이 나올 정도였다. 전체적인 액션씬에서 드러나는 CG나 이러한 연출은 마치 그래픽 좋은 게임을 하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강동원을 좋아하는 팬이라면 반도가 내용과는 관계없이 최애 영화로 등극하게 될 수도 있지 않을까. 그의 모습이 멋있다는 건 누가 봐도 공감할 테니.

반응형

댓글